평범한 사람이라면 “슈퍼 트위터”란 용어를 유명 소셜 미디어 웹사이트인 Twitter를 지나치게 많이 이용하는 사람이란 뜻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오디오 마니아는 다릅니다. 간단히 말해 슈퍼 트위터란 홈 오디오 시스템으로 초고주파수와 우수한 음질을 재현하는 스피커 드라이버로서 하이 레졸루션 오디오 재생을 지원하는 Hi-Fi 스피커의 핵심 요소입니다.
우수한 홈 오디오 음질을 위한 특별한 접근
최고의 음질을 얻으려면 대부분의 Hi-Fi 스피커 시스템에서는 청취자가 스피커 바로 앞에 앉아야 하며 귀와 트위터가 같은 높이대에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소니 엔지니어 팀, Tomoya Kato, Kouji Miyata, Masanori Sugiyama는 대다수 사람들이 음악을 듣는 방식이 이와 다르다는 점을 깨달았습니다. 사람들은 집안을 돌아다니며 우수한 음질의 오디오를 즐길 수 있기를 원합니다.
이미지의 파란색 영역은 기존 스피커의 스윗 스팟을 의미하며 노란색 영역은 SS-HA1/3의 스윗 스팟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개념을 염두에 두고 최대한 넓은 실내 청취 범위를 제공하는 홈 오디오 시스템인 HA 스피커 시리즈(SS-HA1 및 SS-HA3)의 개발에 착수했습니다.
이것이 가능해진 이유는 슈퍼 트위터에 대한 특별한 접근 덕분입니다.
트위터는 형태와 크기가 다양하며 그에 따라 음질에 영향을 미칩니다. 우선은 최고의 선명도와 정보 밀도를 갖춘 사운드 재현을 이유로 컴팩트한 소프트 돔 트위터를 SS-HA1 및 SS-HA3 전면에 선택했습니다. 즉, 음악 녹음 스튜디오에서 나오는 마스터 아날로그 파일에 최대한 가까운 오디오 사운드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Kato, Miyata, Sugiyama는 2개의 슈퍼 트위터만으로는 WD 사운드를 재현하기에 부족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Hi-Fi 스피커 위에 슈퍼 트위터를 2개 더 올려 위쪽 사선 방향의 힘을 보완함으로써 최대한 폭넓은 청취 범위에서 일관된 음질을 얻도록 하였습니다.
소니 엔지니어 팀에서는 밀리미터(가로, 세로, 깊이) 단위로 두 슈퍼 트위터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특별한 도구를 제작해 두 슈퍼 트위터의 상대적인 최고의 위치를 찾아냈습니다. 셀 수 없이 많은 음악 청취 시험을 실시하며 각종 지표를 측정했으며 결국 컴퓨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 최고의 위치를 결정했습니다.
기타 Hi-Fi 스피커 요소를 갖춘 슈퍼 트위터
장착 전의 소형 슈퍼 트위터는 시험 단계에서 우수한 음질을 제공했지만 소니 엔지니어가 스피커를 제대로 장착하자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슈퍼 트위터의 효과를 전혀 느낄 수 없었던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소형 슈퍼 트위터의 지향성이 지나치게 우수한 탓에 배플 표면에서 음향이 반사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하우징 구석에서 회절이 발생하여 음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 이미지는 회절이 발생한 스피커(왼쪽)와 회절이 없는 스피커(오른쪽)를 보여줍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엔지니어 팀에서는 슈퍼 트위터 주변에서 배플이 차지하는 영역이 최대한 적도록 제작해 배플 반사를 완화했습니다.
45도 절단 디자인을 사용한 트위터는 반구 디자인 또는 불완전 곡선 끝단을 채택한 제품보다 우수한 음질을 제공한다는 사실도 발견되었습니다.
그 결과, 배플의 좌우 및 위쪽 방향과 스피커의 대각선 위쪽 방향에 45도 절단 디자인을 적용했습니다.
뮤직 앤 라이프: 음악을 사랑하는 청취자들을 위한 트렌드 및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