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 magazine zone
코로나19로 외출을 자제하면서 각종 음식과 식자재 등을 배달시키는 서비스가 발달하고 있습니다.
배송된 물건을 받아보면 식품의 신선한 유통을 위해 필수로 들어 있는 것이 있는데요.
바로 아이스 팩입니다.
그런데 이 아이스팩이 환경오염의 주범이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아이스팩이 환경을 오염시키게 되는 이유와 친환경적으로 사용하는 방법까지 에코 매거진과 함께 알아봅시다.
※ 내용 출처 한국환경산업기술원, KBS
아이스팩은 지난해 국내 사용량 2억 개, 올해는 코로나 때문에 배달이 늘어나 1억 개 정도 더 늘어서 3억 개를 뛰어넘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렇게나 많이 쓰이는 아이스팩, 대체 무엇으로 만들었을까요? 아이스팩의 성분 중 80%는 고흡수성 수지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고흡수성 수지란 자기의 무게보다 수십 배의 물을 흡수하고 압력에도 강해 물의 보관이 용이해서 기저귀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소재입니다.
일종의 미세 플라스틱인데요. 소각장에서도 타지 않고, 매립해도 썩는데 500년이 넘는 시간이 걸립니다.
그뿐만 아니라 이 미세한 플라스틱은 토양과 강을 따라 우리의 몸에 돌아올 위험이 있습니다.
이러한 고흡수성 수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이와 물 등이 들어간 아이스팩이 등장하였습니다.
친환경 아이스팩에 들어가는 소재는 고흡수성 수지와 달리 전부 재활용과 자연분해가 가능합니다.
이러한 친환경 아이스팩의 개발뿐 아니라 일반 아이스팩을 줄이기위한 활동의 일환으로 홈쇼핑 업체나 지역에 따라 아이스팩을 수거하여 재사용을 도와주는 ‘아이스팩 재사용 사업‘을 실시하는 등 아이스팩을 줄이기 위한 기업과 정부 차원의 노력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아무리 친환경 소재로 이루어진 아이스팩이라고 하더라도 바른 분리배출을 하지 않으면 소용이 없습니다.
포장재에는 방수나 발수 기능을 위한 코팅제가 첨가되어 있는데 꼭 분리하여 배출해야 합니다.
일반 아이스팩의 경우도 내용물과 포장재를 분리해서 배출해야 합니다. 혹시 재사용이 가능한 아이스팩이라면 각 지역의 수거함을 이용하여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도 좋겠지요.
환경부에서는 고흡수성 수지를 쓰는 아이스팩에 폐기물 부담금을 부과하는 등 적극적으로 고흡수성 수지 아이스팩 줄이기에 나섰습니다.
친환경 아이스팩의 사용, 아이스팩 재사용 등으로 환경을 지켜요!
ECO QUIZ
Copyright© Sony Korea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