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분과 감동을 선사하는 하이 레졸루션 오디오의 세계에 동참하고 싶나요? 하이 레졸루션 오디오와 관련된 다양한 지식이 있지만 약어들과 헷갈리는 용어들로 인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걱정하지 마세요. 소니에서는 여러분이 최고의 음악을 경험할 수 있도록 오디오 전문가에게 필요한 하이 레졸루션 오디오 관련 지식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오디오 마니아 세계에서 자주 쓰이는 기본 하이 레졸루션 오디오 용어 목록과 그 정의를 소개합니다.
하이 레졸루션 오디오:
CD 및 MP3보다 높은 샘플링 레이트를 사용해 음악을 인코딩하고 재생하는 오디오입니다. 정밀한 선명도와 뉘앙스가 특징인 하이 레졸루션 오디오는 녹음된 음악 원본을 MP3 파일로 변환하는 것보다 훨씬 많은 데이터를 유지해 음악에 생명력을 부여합니다. 하이 레졸루션 오디오 파일 포맷으로는 WAV, DSD, ALAC, FLAC, AIFF 등이 있습니다.
DSD 및 PCM 비교:
오디오를 디지털 사용 포맷으로 처리/인코딩하는 2가지 주요 방식이 바로 PCM 및 DSD입니다. 간단히 말해, PCM은 조작이 간편합니다. 반면 DSD는 녹음 스튜디오에서 사용하는 마스터 아카이브 포맷으로서 DSD가 아날로그 원본에 가장 가까운 디지털 파일 샘플을 제공한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각 포맷의 자세한 사항을 소개합니다.
DSD:
DSD(Direct-Stream Digital)는 펄스 밀도 변조 인코딩을 사용해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스토리지 미디어에 저장합니다. 이 기술의 샘플링 레이트는 2.8224MHz 또는 5.6448MHz로서 이는 CD 오디오 샘플링의 64배 또는 128배에 해당합니다.
PCM:
PCM(Pulse Code Modulation)은 표준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로 변환하는 기술로서 컴퓨터 및 CD에 쓰이는 표준 형태의 디지털 사운드입니다. 신호의 진폭을 일관된 간격으로 샘플링한 후 다양한 디지털 단계를 거쳐 각 샘플을 가장 근접한 값으로 제한해 줍니다.
손실 압축:
MP3 및 AAC 파일과 관련해 손실 파일 압축 시 원래 버전의 데이터 및 품질이 손실됩니다. 결과로 얻은 파일은 원래 버전보다 훨씬 적은 공간을 차지하지만 품질이 크게 저하됩니다.
무손실:
무손실 압축 기술은 일종의 알고리즘을 통해 원본 데이터를 압축된 데이터에서 거의 완벽하게 재현해 냅니다. 무손실 데이터의 파일 크기는 보통 손실 파일보다는 크지만 음질이 훨씬 우수합니다. 이 같은 파일 포맷의 예로는 FLAC 및 Apple Lossless가 있습니다.
무압축:
무압축 오디오는 압축하지 않은 원본 데이터와 정확히 동일한 사운드를 재현합니다. 일반적으로 WAV 및 AIFF 포맷 등의 무압축 오디오 파일에서 최고의 음질을 얻을 수 있습니다. 무압축 오디오의 결점으로는 많은 공간을 차지하며 파일을 열고 재생하는 데 필요한 대역폭을 들 수 있습니다.
kHz/비트:
샘플링 주파수 대비 비트 깊이를 나타내는 표준 단위입니다.
킬로헤르츠(kHz) 수치
오디오가 샘플링되는 초당 횟수인 샘플링 주파수를 측정합니다. 따라서 kHz 수치가 높을수록 음질이 우수합니다.
비트 깊이
각 샘플에 포함된 비트 수(또는 데이터 양)을 측정합니다. 비트 깊이는 각 샘플의 레졸루션에 직접적으로 관련됩니다. 비트 깊이가 클수록 음질이 우수합니다.
새 하이 레졸루션 오디오 용어를 학습했으니 시간을 갖고 실생활에서 해당 용어를 이용해 보세요.
좋아하는 곡을 하이 레졸루션 오디오로 모두 찾을 수 있습니다.
뮤직 앤 라이프: 음악을 사랑하는 청취자들을 위한 트렌드 및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