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ID : S500077398 / 최종 수정 : 2010/03/12인쇄

렌즈 수차란 무엇인가요?

    렌즈의 형태와 빛에 의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수차에는 몇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1 구면수차
    렌즈는 둥근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렌즈 가운데를 통과하는 빛과 렌즈 외곽을 통과하는 빛의 굴절률 차이로 초점이 맞는 거리가 달라지게 됩니다.  거리가 먼 외곽부가 짧아지고, 가까운 가운데 쪽이 길어집니다. 이것은 굴절률 때문에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럴때 조리개를 조여주면 렌즈의 가운데 부분만을 사용하게 되어서 오차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이런 현상을 줄이기 위해 볼록 렌즈와 오목 렌즈를 여러장 겹쳐 사용하게 되는것입니다.

    2 코마수차
    렌즈의 위나 아래 또는 좌우에 있는 사물이 렌즈에 그 만큼 비스듬하게 들어와서 생기는 오차입니다.
    빛이 연속적으로 작은 원이 겹치는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이런 현상이  플레어를 나타나게 하는 원인이 됩니다. 심하면 콘트라스트가 저하되고 이중상으로 보입니다.

    3 비점수차
    한 점에서 렌즈의 광축에 비스듬히 입사된 사광선이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의 성분이 서로 달라 각기 다른 지점에 상이 맺히게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수직선과 수평선 중 어느 한쪽만 초점이 맞는 현상인데 조리개를 조여서 감소할 수 있습니다. 

    4 상면만곡
    평면의 상이 평면으로 되지 않고 곡면으로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조리개를 조여서 감소할 수 있습니다.

    5 왜곡수차
    피사체에서 직선부분의 결상 위치가 광축과 가까워 지거나 멀어지기도 하여 이미지가 비틀어 지는 현상입니다. 이미지는 선명하지만 주변부로 갈수록 상이 왜곡되는 수차입니다.
    광곽렌즈에서 많이 볼 수 있고 렌즈에서 가까운 피사체와 주변부의 이미지에서 많이 생깁니다.
    왜곡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비구면 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6 색수차
    초점을 잇는 위치가 어긋나게 되어 동일한 초점면에 초점을 맺지 못하는 현상으로
    상의 색들이 번져나와 선예도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렌즈 코팅이나 저분산 렌즈를 사용해 색수차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소니의 렌즈군 중에서 비구면 렌즈나 저분산 렌즈를 비교해 보고 촬영자의 촬영 방향을 생각하고 고르는것이 효율성이 있습니다
    렌즈 사용자 사용법이 잘못 되었다거나 시간의 경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사용하실 때 충격에 주의하셔야 되고 습기가 없는곳에 잘 보관을 하는 배려가 필요합니다.